본문 바로가기

쿤즈 Dev206

[Java] 리터럴(Literal)에 대한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터럴(Literal)에 대해서 짧게 정리하고자 한다.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변수(Variable)에서 사용하던 유형들이 정확하게 어떠한 형태로 사용되고 의미하지 알아보고자 한다. 자바(Java)에서 사용되는 리터럴(Literal) 자바(Java)에서 "리터럴(Literal)"은 코드에서 사용되는 고정된 값들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리터럴은 변수에 할당되지 않고 직접 사용되는 값으로, 코드 내에서 직접 쓰여진 값 자체를 의미한다. 리터럴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현된다. 정수 리터럴 (Integer Literals) 정수 리터럴를 기본적으로 10진수로 표현된다. 0으로 시작하는 리터럴은 8진수, 0x 또는 0X로 시작하는 리터럴은 16진수로 해석된다. 예: .. 2023. 8. 8.
[Java] 변수(Variable)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난 포스팅에서는 자바(Java)에 대에서 알아야할 내용들과 간단하게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서드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만들어 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인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변수(Variable)란 자바에서 변수(Variable)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말한다.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유형에 맞는 데이터만 저장이 가능하다. 자바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한다. 변수 선언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한다. 데이터타입 변수이름; 데이터타입은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유형을 말한다. 변수이름은 해당 값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유.. 2023. 8. 2.
[Java] Hello, world 출력하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알아둬야 할 JDK, JRE, JVM에 대해서 적어보았다. 자바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 알아둬야 할 몇 가지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를 이용해서 글자를 출력하는 가장 전통적인 예제를 만들어 보자. Java 프로그램 Tool 예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Eclipse를 즐겨 사용했다면 지금은 IntelliJ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텔리제이는 커뮤니티 버전과 상용 툴이 나눠져 있다. 다운로드는 아래 사이트에서 가능하다. 다운로드: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section=mac 현재 나는 회사에서 인텔리제이 상용 버전을 사용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커뮤니티 버전으로도 Java를 개발하기 .. 2023. 7. 28.
[Java] Java를 시작하기 전 알고 가야할 몇 가지 정보 최근 몇년동안 개발자라는 직업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Java를 이용한 웹 개발자들이 많은 각광을 받고 많은 사람들이 개발자를 하기 위해서 웹 개발을 배우는 것 같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 개발을 하기 위해서 알아둬야할 간단한 정보를 공유하려 한다. JDK, JVM, JRE JDK, JVM, JRE는 자바 프로그래밍과 실행에 중요한 개념들이다. 이들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JDK (Java Development Kit) JDK는 자바 개발 도구로, 자바 애플리케이션과 앱렛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도구와 라이브러리의 집합이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자바 컴파일러: 자바 소스 코드(.java 파일)를 바이트 코드(.class 파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자바 .. 2023. 7. 27.
[Spring Boot] Swagger 3.0 적용하기 Swagger의 3.0 버전을 새로운 토이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려 한다. 기존에는 적용해보지 않았지만 API 문서작업이 필요함을 느끼고 작업을 진행해 보려 한다. 문서작업이 항상 먼저지만 그와는 별개로 Swagger는 클라이언트에서 작업하기에 편한 문서가 안닐까 생각된다. 물론 서버에서 API를 실행해 보기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Swagger 3.0 종속성 설치 첫 시작부터 쉽지 않았던것 같다. 종속성을 설치해도 페이지가 접속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한참을 뒤져보다가 하나의 해답을 찾아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614369/how-to-run-swagger-3-on-spring-boot-3 How to run Swagger 3 on Spring Bo.. 2023. 7. 25.
[Java] Records (JEP 359) 레코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프링부트 3.0으로 올라가면서 자바(Java) 17이 기본이 되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자주 보이는 키워드가 record 키워드인 것 같다. DTO를 만드는 과정에서 class 대신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cord 에 대해서 알아보자. Records (JEP 359) 란 무엇인가 JEP 359는 "Records"라는 기능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 Java Enhancement Proposal이다. JEP는 Java 개발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기능, 개선 사항 또는 변경 사항을 제안하는 문서이다. JEP 359는 Java 14에서 도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자는 불변(immutable) 데이터 컨테이너를 간결하게 정의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인 "record"를 사용할 수 있다. rec.. 2023. 7. 7.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2): 두 번째 화면 만들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네이게이션을 이용하여 Stack 첫 화면을 만들었다. 이렇게 쉽게 화면 하나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놀라웠다. 물론 아직 아무런 화면의 구성도 만들지 않았지만 말이다. 2023.04.04 - [쿤즈 Dev/React Native] -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1): Home 화면 만들기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1): Home 화면 만들기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하면서 초기에 가장 필요한 기능이 바로 네비게이션 메뉴인것 같다. 이는 메뉴뿐만 아니라 화면을 이동하는데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손쉽게 이동을 구현할 koonsland.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번째 화면을 만들고 화면 이동을 해 볼 것이다. 두 번째 화면 만들기 두.. 2023. 4. 8.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1): Home 화면 만들기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하면서 초기에 가장 필요한 기능이 바로 네비게이션 메뉴인것 같다. 이는 메뉴뿐만 아니라 화면을 이동하는데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손쉽게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비게이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React Navigation 리액트 네비게이션이라는 사이트가 존재한다. React Navigation: https://reactnavigation.org 현재 6.x 버전이며 이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해서 만들 예정이다. 현재 Expo 를 이용해서 개발하는 방법을 공부하고 있는데 대표 화면에 큼지막하게 Routing and navigation for Expo and React Native apps 라 나와 있어서 아주 속이 편한다. [Rea.. 2023. 4. 4.
[React Native] Expo 이용해서 프로젝트 만들기 리엑트 네이티브를 이용해서 앱을 만들어볼 예정이다. 공부를 하면서 만들 예정이므로 잘 모르는 부분과 헤매는 부분들이 많을 것을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로그를 남기는 이유는 내가 헤매는 부분들은 다른 사람들도 겪을 수 있는 일들이기 때문에 기록하기 위함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xpo 를 이용해서 리엑트 네이티브 앱을 간단하게 설치해보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려 한다. Expo 란 무엇인가 Expo는 IOS, 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구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다. 리액트 네이티브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지만 엑스포 앱을 통해서 더 쉽게 할 수 있는 일들이 많다. Expo 사이트: https://docs.expo.dev Expo를 이용해서 React Native 프로젝.. 2023.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