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9

[Java] 관계 연산자 (Relational Operators) 사용 방법 자바(Java)에서 알아두어야 할 연산자들이 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대입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어떠한 값을 변수에 할당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값을 대입하는 연산자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계 연산자에 대해서 알아보자. 관계 연산자 (Relational Operators) 관계 연산자는 두 개의 값 또는 표현식을 비교하고 그 결과를 불리언(boolean) 값으로 반환하는 연산자이다. 프로그램에서 조건문과 제어문을 사용하여 특정 조건에 따라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할 때 자주 사용된다. 자바에서 사용되는 주요 관계 연산자는 다음과 같다. Equal to (==) 두 값이 서로 같으면 'true'를 반환하고, 다르면 'false'를 반환한다. boolean result = (1 == 2); // false.. 2023. 8. 15.
[Java] 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사용 방법 프로그램을 배울 때 연산자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그중에서도 할당 연산자는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 연산자다. 이름 그대로 값을 할당해 주는 연산자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Java)에서 사용하는 할당 연산자와 사용 방법을 알아보자. 할당 연산자 (Assignment Operators) 할당 연산자는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데 사용되는 특수한 연산자들이다. 이러한 연산자들은 변수의 값을 조작하거나 갱신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서 알아보자. 대입 연산자 (=) 대입 연산자는 이름 그대로 값을 대입하는 연산자다. 기호는 '='을 사용한다. int x = 10; 오른쪽에 있는 10을 왼쪽 피연산자(변수)인 x에 할당한다는 의미다. 순서는 오른쪽에 있는 값을 왼쪽에 할당한다는 의미다. 이 대입 연산.. 2023. 8. 12.
[Java] 형 변환(Type Conversion)의 사용법과 주의점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꼭 발생하는 상황이 바로 형 변환(Type conversion)이다. 기본타입인 primitive type과 개발자가 만든 class type 모두 형변환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형변환에 대해서 알아보고 주의할 점 역시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형 변환의 종류 자바에서 형 변환은 데이터 타입을 다른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는 다양한 형식으로 표현되며, 때로는 이러한 데이터 타입 간의 변환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자바는 두 가지 유형의 형 변환을 지원한다. 암시적 형 변환 (Implicit Casting) 또는 자동 형 변환 작은 데이터 타입에서 큰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될 때 발생하게 된다. 상대적으로 덜 정밀한 데이터를 더 정밀한 데이터.. 2023. 8. 10.
[Spring Boot] 롬복(Lombok)과 Mybatis 사용시 IndexOutOfBoundsException 발생 그리고 해결 방법 스프링 부트(Spring Boot)를 사용해서 백엔드 API를 개발할 때, 롬복(Lombok)을 많이 사용한다. 편하기도 하고 반복된 메서드를 만들 필요도 없기 때문에 잘만 사용하면 매우 훌륭한 라이브러리라 생각된다. 최근 Mybatis를 함께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 중에 갑자기 발생된 문제를 해결한 방법에 대해서 공유하려 한다. 롬복(Lombok)의 사용 시 @Builder의 사용 롬복에는 여러 가지 애노테이션이 있습니다. 주로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RequiredArgsConstructor, @Data, @ToString을 사용한다. 거의 대부분의 모든 것을 사용하는 것 같다. 저의 경우는 @Builder는 잘 사.. 2023. 8. 9.
[Java] 리터럴(Literal)에 대한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터럴(Literal)에 대해서 짧게 정리하고자 한다. 어려운 내용은 아니지만 변수(Variable)에서 사용하던 유형들이 정확하게 어떠한 형태로 사용되고 의미하지 알아보고자 한다. 자바(Java)에서 사용되는 리터럴(Literal) 자바(Java)에서 "리터럴(Literal)"은 코드에서 사용되는 고정된 값들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리터럴은 변수에 할당되지 않고 직접 사용되는 값으로, 코드 내에서 직접 쓰여진 값 자체를 의미한다. 리터럴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른 형태로 표현된다. 정수 리터럴 (Integer Literals) 정수 리터럴를 기본적으로 10진수로 표현된다. 0으로 시작하는 리터럴은 8진수, 0x 또는 0X로 시작하는 리터럴은 16진수로 해석된다. 예: .. 2023. 8. 8.
[Java] 변수(Variable)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난 포스팅에서는 자바(Java)에 대에서 알아야할 내용들과 간단하게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메서드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만들어 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위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공간인 변수에 대해서 알아보자. 변수(Variable)란 자바에서 변수(Variable)는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의 이름을 말한다.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중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변수는 하나의 데이터 유형을 가지고 있으며 해당 유형에 맞는 데이터만 저장이 가능하다. 자바에서 변수를 사용할 때는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한다. 변수 선언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사용한다. 데이터타입 변수이름; 데이터타입은 변수에 저장될 데이터의 유형을 말한다. 변수이름은 해당 값을 이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고유.. 2023. 8. 2.
[Java] Hello, world 출력하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간단하게 알아둬야 할 JDK, JRE, JVM에 대해서 적어보았다. 자바를 이용해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 알아둬야 할 몇 가지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를 이용해서 글자를 출력하는 가장 전통적인 예제를 만들어 보자. Java 프로그램 Tool 예전에는 많은 사람들이 Eclipse를 즐겨 사용했다면 지금은 IntelliJ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텔리제이는 커뮤니티 버전과 상용 툴이 나눠져 있다. 다운로드는 아래 사이트에서 가능하다. 다운로드: https://www.jetbrains.com/ko-kr/idea/download/?section=mac 현재 나는 회사에서 인텔리제이 상용 버전을 사용하고 있으며 개인적으로도 사용하고 있다. 커뮤니티 버전으로도 Java를 개발하기 .. 2023. 7. 28.
[Java] Java를 시작하기 전 알고 가야할 몇 가지 정보 최근 몇년동안 개발자라는 직업이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Java를 이용한 웹 개발자들이 많은 각광을 받고 많은 사람들이 개발자를 하기 위해서 웹 개발을 배우는 것 같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 개발을 하기 위해서 알아둬야할 간단한 정보를 공유하려 한다. JDK, JVM, JRE JDK, JVM, JRE는 자바 프로그래밍과 실행에 중요한 개념들이다. 이들은 어떻게 다른지 알아보자. JDK (Java Development Kit) JDK는 자바 개발 도구로, 자바 애플리케이션과 앱렛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도구와 라이브러리의 집합이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 자바 컴파일러: 자바 소스 코드(.java 파일)를 바이트 코드(.class 파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자바 .. 2023. 7. 27.
[유용한 정보] 랜덤값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 개발을 하다보면 키값을 만들어야 할 일들이 발생할 때가 있다. 이 때마다 어떠한 키를 만들어야 하는지 고민이 된다. 임의로 만들게 되면 누구나 읽기 쉬운 단어나 특수문자, 숫자를 포함해서 만드는데 이보다는 전혀 알 수 없는 랜던값이 필요하다. 이번에는 이러한 랜덤값을 만들어 주는 사이트를 소개하려한다. 랜던값을 생성해 주는 사이트 Avast 다른 여러가지 사이트들도 많지만 개인적으로 가장 즐겨 사용하는 사이트다 https://www.avast.com/random-password-generator#mac 필자가 보기 편하고 사용하기 편해서 그런것 같기도 하다. 값은 패스워드를 만들어주는 Generator라 하지만 단순하게 랜덤값을 만들어서 사용할때 편리한것 같다. 랜덤값은 길이를 설정할 수도 있고 문자의 .. 2023. 7.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