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29

[Spring Boot] Swagger 3.0 적용하기 Swagger의 3.0 버전을 새로운 토이 프로젝트에 적용해 보려 한다. 기존에는 적용해보지 않았지만 API 문서작업이 필요함을 느끼고 작업을 진행해 보려 한다. 문서작업이 항상 먼저지만 그와는 별개로 Swagger는 클라이언트에서 작업하기에 편한 문서가 안닐까 생각된다. 물론 서버에서 API를 실행해 보기 좋은 방법이기도 하다. Swagger 3.0 종속성 설치 첫 시작부터 쉽지 않았던것 같다. 종속성을 설치해도 페이지가 접속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한참을 뒤져보다가 하나의 해답을 찾아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614369/how-to-run-swagger-3-on-spring-boot-3 How to run Swagger 3 on Spring Bo.. 2023. 7. 25.
[Java] Records (JEP 359) 레코드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프링부트 3.0으로 올라가면서 자바(Java) 17이 기본이 되었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자주 보이는 키워드가 record 키워드인 것 같다. DTO를 만드는 과정에서 class 대신 사용이 가능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Record 에 대해서 알아보자. Records (JEP 359) 란 무엇인가 JEP 359는 "Records"라는 기능을 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한 Java Enhancement Proposal이다. JEP는 Java 개발 프로세스에서 새로운 기능, 개선 사항 또는 변경 사항을 제안하는 문서이다. JEP 359는 Java 14에서 도입되었으며, 이를 통해 개발자는 불변(immutable) 데이터 컨테이너를 간결하게 정의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인 "record"를 사용할 수 있다. rec.. 2023. 7. 7.
[유용한 정보] Wi-Fi(와이파이)와 LTE 의 차이 지난 포스팅에서 Wi-Fi(와이파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리가 평소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어떤 기능이고 어떻게 만들어 졌는지 급 궁금해서 포스팅을 해 보았다. 2023.06.24 - [쿤즈 IT/유용한 정보] - [유용한 정보] Wi-Fi(와이파이) 는 무엇일까 [유용한 정보] Wi-Fi(와이파이) 는 무엇일까 문득 Wifi 는 대체 뭐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것저것 조사를 해보기 시작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ifi(와이파이)에 대해서 포스팅 해본다. Wi-Fi 란? Wi-Fi는 무선 통신 기술로, 전자 기기 간 koonsland.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LTE와 무엇이 다른이 궁금하여 포스팅 해본다. LTE 란 무엇인가 LTE (Long Term Evolution)는 모바일.. 2023. 6. 25.
[유용한 정보] Wi-Fi(와이파이) 는 무엇일까 문득 Wifi 는 대체 뭐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이것저것 조사를 해보기 시작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Wifi(와이파이)에 대해서 포스팅 해본다. Wi-Fi 란? Wi-Fi는 무선 통신 기술로, 전자 기기 간에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Wi-Fi는 "Wireless Fidelity"의 약자이며, IEEE 802.11 표준에 따라 작동한다. Wi-Fi를 사용하여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장치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그럼 Wi-Fi의 작동 원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Wi-Fi 의 작동 원리 Wi-Fi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무선 라우터 인터넷 서비스 공급업체(ISP)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연결을 받아와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다. 무선 라우터는 인터넷 연결을 Wi-Fi 신.. 2023. 6. 24.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2): 두 번째 화면 만들기 지난 포스팅에서는 네이게이션을 이용하여 Stack 첫 화면을 만들었다. 이렇게 쉽게 화면 하나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놀라웠다. 물론 아직 아무런 화면의 구성도 만들지 않았지만 말이다. 2023.04.04 - [쿤즈 Dev/React Native] -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1): Home 화면 만들기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1): Home 화면 만들기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하면서 초기에 가장 필요한 기능이 바로 네비게이션 메뉴인것 같다. 이는 메뉴뿐만 아니라 화면을 이동하는데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손쉽게 이동을 구현할 koonsland.tistory.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번째 화면을 만들고 화면 이동을 해 볼 것이다. 두 번째 화면 만들기 두.. 2023. 4. 8.
[React Native] 네비게이션 만들기(1): Home 화면 만들기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하면서 초기에 가장 필요한 기능이 바로 네비게이션 메뉴인것 같다. 이는 메뉴뿐만 아니라 화면을 이동하는데 사용하는 라이브러리이기 때문에 손쉽게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네비게이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React Navigation 리액트 네비게이션이라는 사이트가 존재한다. React Navigation: https://reactnavigation.org 현재 6.x 버전이며 이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해서 만들 예정이다. 현재 Expo 를 이용해서 개발하는 방법을 공부하고 있는데 대표 화면에 큼지막하게 Routing and navigation for Expo and React Native apps 라 나와 있어서 아주 속이 편한다. [Rea.. 2023. 4. 4.
[React Native] Expo 이용해서 프로젝트 만들기 리엑트 네이티브를 이용해서 앱을 만들어볼 예정이다. 공부를 하면서 만들 예정이므로 잘 모르는 부분과 헤매는 부분들이 많을 것을 예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블로그를 남기는 이유는 내가 헤매는 부분들은 다른 사람들도 겪을 수 있는 일들이기 때문에 기록하기 위함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Expo 를 이용해서 리엑트 네이티브 앱을 간단하게 설치해보고 프로젝트를 생성하려 한다. Expo 란 무엇인가 Expo는 IOS, Android 애플리케이션을 더 쉽게 구현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다. 리액트 네이티브를 이용해서 만들 수도 있지만 엑스포 앱을 통해서 더 쉽게 할 수 있는 일들이 많다. Expo 사이트: https://docs.expo.dev Expo를 이용해서 React Native 프로젝.. 2023. 4. 2.
[Apple] 애플 스토어 강남점 오픈 애플 스토어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것 같다. 그 중에서도 이번에는 강남점을 오픈한다는 소식이다. 워낙 애플 제품들을 좋아하다보니 애플 스토어도 자연스럽게 관심을 가지게 된다. 애플 스토어 강남점 정보 애플 스토어가 생기는 강남점 주소다. 주소 :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464 위치를 보아하니 이전에 프리스비가 있었던 위치로 보인다. 회사를 옮겼더니 강남을 잘 안가게 되어 프리스비가 없어졌다는 소식만 들었다. 하지만 이 곳에 애플스토어가 들어오다니 좀 놀랍긴 하다. 매장 운영 시간: 오전 10:00 - 오후 10:00 강남점 오픈 일자는 3월 31일이며 이 날 운영시간은 오후 5:00 - 오후 11:00 까지다. 놀러가고 싶은 맘이 가득하다. 아래 사이트에서 강남점 오픈 기념 배경화면을 다운로드 할 수 있.. 2023. 3. 14.
[IntelliJ] 인텔리J 파라미터 이름 힌트 사용 설정 방법 저는 인텔리J를 사용해서 웹 서비스를 현재는 개발하고 하고있다. 그런데 개발하다보니 어느순간부터인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었다. 분명히 메서드 혹은 클래스를 사용하면 어떤 파라미터가 들어가야하는지 이름 힌트를 보여줬던것 같은데 안보이기 시작했던 것이다. 기존에 있던 메뉴에서도 안보여서 기억하기 위해 작성한다. 인텔리J 파라미터 이름 힌트 옵션 설정 방법 필자는 맥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맥에 [Setting] 라는 메뉴를 선택하였다. 이 곳에서 검색 기능을 이용해서 "hint" 를 검색하면 여러 가지 메뉴들이 추가적으로 보이지만 [Editor] -> [Inlay Hints] 라는 메뉴를 선택하였고 여기서 [Parameter names] 를 선택한다. [Java] 를 선택하면 Parameters with na.. 2023. 3. 13.